Song Feel

 송필

Biography

송필

(b. 1970-)


송 필 작가는 경희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조각을 전공했으며 ‘Beyond the Withered’(호리아트스페이스/아이프라운지, 서울, 2021), ‘부러진 빛’(영은미술관, 광주, 2019)등에서의 개인전과 ‘재현과 재연 Limelight’(롯데 갤러리 서울, 동탄, 인천, 2022), ‘달성 대구 현대 미술제-미술의 공진화’(대구 강정보 디아크 공원, 대구, 2022)등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그는 구본주 예술상, SEVEN-ONES AWARDS 대상, 구상조각대전 특선 등 다수의 수상과 선정에 이름을 올렸고, 제주 현대 미술관, 경기도 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MANET MUSEUM(중국), 상해 젠다이 MOMA MUSEUM(중국)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학력

2001. 경희대학교 동대학원 조각 전공, 졸업

 

수상 및 선정 

2015. 구본주 예술상 수상

2015, SEVEN-ONES AWARDS 대상 수상

1991, 2001 구상조각대전 특선, 그 외 다수  


레지던시 

영은미술관 레지던시, 장흥 조각 스튜디오 레지던시


소장처

제주 현대 미술관,경기도 미술관(한국), 서울시립미술관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한국) 메리어츠 호텔(한국), 영은미술관 (한국), 폴리 옥션 POLY OCTION (중국), MANET MUSEUM(북경, 중국), 상해 젠다이 MOMA MUSEUM(상하이, 중국) 등



허공에 뿌리내린 (2021) 작품과 레퓨지아 (2021~2022) 작품은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현대 유랑민, 현대인의 심리를 대변한다. 다른 한편으론 그만큼 물리적인 장소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 정신적 가치를 더 추구하는 심리, 또는 순간순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다른 장소로 이주하거나 떠다니는 유목민의 습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지만 나무는 뿌리박지 않아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그 결실은 빛에 의해 순간순간 형형색색으로 아름답게 드러난다.

어두워지면 점차적 으로 발광하는 작품들은 가지고 있지만 드러나지 않은 것, 그 이면의 다른 선한 욕망,생명에 대한 의지이다. 전작에서는 나무 뿌리를 등에 지고 힘겹게 옮겨 다니는 실크로드 연작, 동물들로 삶의 여정을 표현해 왔다면 2020~2022년 제작한 작품들은 기존의 작품에서 한 걸음을 더 내딛어 그 무게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스스로 점점 빛을 품고 결실을 맺는 것, 그렇게 순환하며 이어지는 삶에 더 초점을 두려 했다, 레퓨지아는 빙하기에 모든 것이 멸종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아 원래의 동식물이 살아남은 장소를 뜻하고, 이 어원처럼 껍질만 남은 나무에서 싹이 움툰다.

모든 작품에 돌덩이같이 무겁고 과도한 욕망이 남긴 삶의 짐, 인간의 긴 여정이 남긴 기억의 창고, 그 와중에 살아보고자 하는 인간의 희망에 기댄 길을 담는다. 이런 인류학적 서사를 통해 인간의 생명의 순환, 흐름, 여정에 대한 숭고를 경외의 시선으로 보는. 결국 “삶의 여정”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을 한다.

Exhibitions

  • 개인전

    2021.Beyond the Withered (Hori Art space & IF Rounge, Seoul, Korea)

    2019.부러진 빛 (영은미술관, 경기 광주, 한국)

    2018.‘Paradise Lost’ (IFC Seoul, 서울, 한국)

    2017. Paradise Lost (Gallery Sejul, 서울, 한국)

    2015, 길-차이속의 연대 (윤종석, 송필 듀오쇼, 아트센터 쿠, 대전)

    2014, ‘직립의 나날들-낙타상자’ (제로 filed gallery, 북경, 중국)

    2013, ’직립의 나날들’(갤러리 그림손, 한국)

    2011.‘Blue carpet’(공아트스페이스, 한국)

    2009.‘찬란한 빛’ (인터알리아, 한국)

    2008.‘구겨진 빛’ (상상 미술관, 송장, 중국)

    2007.‘brilliant light’ (제로 filed gallery, 북경, 중국)

    2007.‘brilliant light‘(갤러리 세줄, 한국)

    그 외 5회 총 17회

  • 단체전

    2022, 재현과 재연Limelight (롯데 갤러리 서울, 동탄, 인천)

    달성 대구 현대 미술제-미술의 공진화 (대구 강정보 디아크 공원, 대구)

           The Artplace HMC 2002(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 서울)

           너무 뜨겁고, 너무 차갑게 (포스코 미술관, 포항)

    2021, Art in Faith (호리 아트 스페이스 & 아이프라운지, 서울)

          화양연화 (MUSEUM1,Busan)

    2020,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 (영은 미술관20주년 특별전, 한국)

           래일 (来日) 제주4.3 미술제 (4.3 평화기념관, 예술공간 이아, 제주) 

    2019, 경기 아카이브_경기 천년 도큐페스타 (수원, 경기상상캠퍼스)

    2018, 원주 한지문화제 특별전 ‘기억의 정원(원주, 한국)

    헌화가 (경포대 해변, 서울)

    2017, 옆집예술 (남양주 작가 작업실,경기문화재단)

    ‘ICONIC’ 아트 그라운드 헵타  개관전(Hepta서울)

    청춘이 청춘에게 고함 (포스코미술관, 서울, 한국)

    2016, 창원조각비엔날레(, 성산 아트홀, 창원, 한국)

    기억의 편린-조탁하다 (L153gallery,서울)

          국회야외조각 프로젝트 (국회 앞마당, 서울)

          마포 야외 조각전-아트 스궤어 마포(마포문화센터, 서울)

    2015, Artificial Fairyland (쑤저우 진리 미술관, 쑤저우, china)

    SEVEN-ONE (장욱진 미술관, 양주, 한국)

      Memento (Space K, 과천, 한국)

    2013, Hero (서울 미술관, 한국)

    평창비엔날레 (평창, 강원도, 한국) 그 외 다수의 기획전 및 단체전 참여


Works

Angel Action



대표 김윤섭  고유등록번호  352-82-06062 

 02-544-1124  |  info@aifchildren.org  |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80길 26, 4층 아이프칠드런